방사선 조영제 부작용 발생 시의 행동지침
1. 조영제 부작용
경 증 : 구역질, 경한 구토, 작열감, 발진, 발한, 가려움증, 주사부위 통증, 기침
중등증 : 현기증, 심한 구토, 심한 두드러기, 안면부종, 성대부종, 기관지경련, 호흡곤란, 흉통, 두통
중 증 : 혈압 강하, 의식 소실, 폐부종, 심장마비, 심근경색증, 심박동 이상
2. 조영제 부작용 시의 대처방법
1. 경증이라고 판단되면 영상의학과 인턴, 방사선사, 또는 간호사는,
1) 영상의학과 판독실(Tel. 5158) 또는 영상의학과 교수에게 보고한다.
2) 영상의학과 교수는 환자를 본 후 ICPR (Pheniramine) ①Ample 등으로 적절히 처치한다.
3) 상황을 담당 주치의에게 연락하고, 결과를 장부와 Chart에 기록한다.
2. 중등증, 중증이라고 판단되면 영상의학과 인턴, 방사선사, 간호사 중
1) 1명 : 중등증은 영상의학과 판독실, 영상의학과 교수에게 보고하고, 주치의에게 연락한다.
: 중증은 즉시 방송을 통하여 "--촬영실 CPR"을 병원 내에 방송하게 한다.
다른 1명은 환자의 복부, 흉부 호흡운동을 관찰하고, Light reflex를 확인하며
BP, Femoral or Carotid pulse를 check한다.
2) 기도 확보 : Neck extension하여 입안의 이물을 제거하고 혀가 기도를 누르지 않게 한다.
3) Mask를 사용하여 100% O2를 주입한다.
4) IV route 확보 : 조영제가 주입되던 IV route는 닫아 놓고 절대로 빼지 않는다.
5) 응급초치가 되면 환자를 집중적인 처치가 가능한 응급 Center로 이송한다.
6) 그 동안의 상황을 장부와 Chart에 자세히 기록한다.
3. 영상의학과 내의 Emergency set
1. Set의 비치장소 4곳 : 1층은 IVP실 (1~2촬영실 중간)과 초음파실, CT실,
2. 구 성 (1회/월 점검하여 교환 및 보충)
1) Vial & Ample
Pheniramine |
Dexa-S |
Melode |
Epinephrine |
Lidocaine |
Pentotal Sodium |
Aminophylline |
Atropine |
2) Laryngoscope Hadle ① & Blade ③ (with Spare battery)
3) 청진기 ①, 혈압계 ①, Ambu bag (Mask), Airway(#4, #5)
4) Intubation tube & Stylet (#7, #7.5, #8) with 10cc-Saline Disposable-syringe
5) O2-cannula & O2-mask, Suction tip catheter(#12) & CSR Saline bottle
6) Disposable-syringe(1, 3, 5, 10, 20cc), 3-Way connector, Plaster
7) Med-icut(18G, 19G, 20G), Needle(19G, 25G), Butterfly needle(18G)
'My Life > Radiograph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ANZCR_Guidelines_for_IODINATED_CONTRAST_MARCH_2009.pdf (0) | 2013.06.05 |
---|---|
Techniques for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(0) | 2013.06.05 |
ER slang translation (0) | 2013.06.04 |
정형외과 주요 약어 모음 (0) | 2013.06.04 |
조영제 X-ray Contrast Media/MR 조영제 (0) | 2013.06.04 |